728x90
매파(보수, 강경파, 양적긴축)
과열된 경기와 물가인상 등등 높은 인플레이션을 완화시키기 위해 긴축정책으로 기준금리 인상을 주장
*양적긴축(Quantitative Tightening, QT): 중앙은행이 은행권에서 반강제로 돈을 빼냄, 돈을 회수
금리 인상을 했으니 긴축 효과가 크지 않을 때 쓰는 방식
(양적완화(QE)): 양적긴축의 반대말로 코로나때 경제를 살리기 위해 돈을 푼 사례
*긴축: 바짝 줄이거나 조임, 재정의 기초를 다지기 위해 지출을 줄임
↓↓↓↓↓↓↓↓↓↓
과잉 공급된 유동성을 잡기위해 서서히 통화량을 거두어들이는 전략 : 테이퍼링 (tapering)
↑↑↑↑↑↑↑↑↑↑
비둘기파(진보, 완화파, 양적완화)
경제성장을 최우선 과제로 생각하는 진보 성향, 경기 활성화를 위해 기준 금리 인하하고 소비 & 고용을 촉진해야 한다고 주장. 양적완화를 통해 물가 인상을 이끔
- 미국 3대 대통령 토마스 제퍼슨이 가장 먼저 사용
- 1960년대 베트남 전쟁때 본격적 사용
- 매파 - 전쟁 지속 / 비둘기파 - 전쟁 멈추고 평화적 해결책 찾는 온건파 세력
- 올빼미파 - 두 성향의 중간입장, 신조어
- 매파의 시간이 온다
2020년 3월 금리인하 (1.25% -> 0.5%)
2020년 1월 금리 인상
728x90
'주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MSCI 러시아 퇴출, 한국증시 반사이익 (0) | 2022.03.03 |
---|---|
최악의 흔들림, 한국증시 1분만에 나락 (0) | 2022.02.17 |
흔들리는 장 속에 단타 종목 찾기 (0) | 2022.02.15 |
공매도 보는 법과 업틱룰 (0) | 2022.02.15 |
우크라이나vs러시아, 지정학적 리스크 관련 투자 상황 (0) | 2022.02.14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