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- 2022년 2월 14일 현재
- 우크라이나 사태(러시가 침공 위협)가 긴장감이 높아지며 전쟁이 날 가능성
- 우크라이나 나토 가입 반대로 인한 침공 분위기
- S&P 전망 지수 5100P -> 4900P 하향 전망 (예상보다 더 추가 하락 예상)
- 금리 최종 7회까지 올릴 수 있다. (BUT, 인플레 진정 및 금리인상 횟수 감소시 S&P 5500P 상승 예상)
- 당당한 러시아
- 크림반도 사태 / 그루지아 전쟁 / 코소보 전쟁 / 아프카니스탄 전쟁 / 소련의 진압 / 쿠바 미사일 위기
러시아 | 우크라이나 | ||
석유/천연가스/백금 | 2위 | 해바라기씨유 | 1위 |
팔라듐 | 1위 | 소맥 | 8위 |
구리 | 7위 | 옥수수 | 6위 |
알루미늄 | 3위 | 러시아 탄산칼륨(비료) 사용 세계 생산량 2/3 | |
아연 | 9위 | ||
엽, 주석 | 6위 | ||
니켈 | 5위 | ||
소백 | 4위 | ||
옥수수 | 9위 |
지정학적 리스크 증시 영향 | |
사건 발생 당일 1.1% 하락 최대 6.1%까지 하락 하락기간 22.5일 회복기간 49.8일 |
|
코로나19 -33.9% | 9.11테러 -11.6% |
한국전쟁 -12.9% | 진주만 -19.8% |
- 관련 주식 - 방위산업 관련주 (단기 테마로 투자 성과 자체가 높지 않을 수 있다.)
- 지정학적 리스크를 간과할 순 없지만 회복 기간 또한 빨랐다.
- 1941년 진주만 습격 이후 20회 이상 지정학적 이벤트 분석 결과, 평균 43일 만에 회복
- 직관적으로 증시는 하락, 국채 및 유가 상승을 예상
- 악재>> 유가상승(도화선) -> 인플레 -> 빠른 금리 인상
미국 정책 금리 인상 주가 상승폭 | |||
1차 금리인상기 | 2차 금리인상기 | 3차 금리인상기 | |
(1999년 6월~2000년 5월) | (2004년6월~2006년 6월) | (2015년12월~2018년 12월) | |
금리인상폭 | 4.75%->6.5% 1.75P상승 | 1->5.25% 4.25P상승 | 0% -> 2.50% 2.25P상승 |
코스피 | -0.60% | 61.10% | 2.50% |
다우존스 | -0.40% | 9.40% | 31.70% |
나스닥 | 37.70% | 9.30% | 29.90% |
728x90
'주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금리의 매파 vs 비둘기파 (0) | 2022.02.16 |
---|---|
흔들리는 장 속에 단타 종목 찾기 (0) | 2022.02.15 |
공매도 보는 법과 업틱룰 (0) | 2022.02.15 |
엠씨넥스 (0) | 2021.02.03 |
[HOT테마주] 전기차와 테슬라 그리고 애플카 관련주 (0) | 2021.01.18 |
댓글